본문 바로가기

귀질환

[중이염원인]괴로운 중이염 어떻게 치료할까?

[중이염원]괴로운 중이염 어떻게 치료할까?

 

 

 

 

중이염이란 귀속 고막의 안쪽 공간인 ‘중이’에 세균이 들어가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말합니다.

 

중이염은 특히 어린이들에게 많이 발생되는 질환인데요. 중이와 코 사이의 공기 통로인 ‘이관’은 평소 닫혀 있다가 둘 사이의 기압차가 생기면 압력을 같게 하기 위해 열리게 되는데 평소 코나 목에 세균이 들어와 염증이 생기면 이관을 통해 중이로 퍼지게 되지만 어린아이일수록 이관의 길이가 짧고 잘 열리기 때문에 중이염에 더 잘 걸리게 됩니다.

 

특히 만 3세 미만 아이들은 90%가 1회가량 중이염을 앓고, 60%는 3회 정도 중이염으로 고생한다는 통계도 있습니다.

 

축농증이나 비염, 감기, 편도선염인 경우에는 이관 상태가 좋지 않아 중이염에 더 잘 걸리기 때문에 가을철 황사가 부는 시기에는 바깥 외출을 자제해 세균 전염을 애초에 차단하는 것이 중이염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간혹 아이가 콧물, 기침, 가래 등 증상을 보이면 단순한 감기라고 생각하고 감기약을 사 먹여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있는데 임의로 판단을 해서는 안 되며 특히나 감기 증상과 함께 귀 통증을 호소하고 고열 증상을 보이면 중이염일 가능성이 높으니 가까운 이비인후과를 꼭 찾아가시기 바랍니다.

 

 

 

 

증상별 중이염 대처 방안

▶귀가 아프고 고열이 난다면..


체온이 38~40℃ 정도로 오르고 자꾸 보채며 귀를 만질 때는 중이염을 의심해보아야 합니다.  아이가 우유병을 빨면서 자지러지게 울거나 우유병 빨기를 거부하기도 하는데, 우유병을 빨면 귀에 압력이 가해져 통증이 더욱 심해지기 때문이지요.

 

또 누우면 통증이 더욱 심해져 안아달라고 더욱 보챕니다. 이럴 때는 우선 아이에게 해열제를 먹이고 가까운 이비인후과를 찾으셔야 합니다.

 

병원에서 처방 받은 약은 시간을 맞춰 규칙적으로 챙겨 먹이고, 집 안 온도는 평소보다 1~2℃ 정도 올려 따뜻하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잘 때는 머리가 창가 쪽으로 향하지 않도록 하며 실내 온도가 낮거나 잠자리가 추우면 증상이 더욱 심해지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고열과 함께 두통, 어지럼증, 귀 울림 증상을 보인다면..

 

귀 울림이나 어지럼증 때문에 아이가 짜증을 더 많이 내고 달래도 좀처럼 진정 되지 않습니다.  이럴 때는 최대한 시각•청각 자극을 피하고 아이가 잠을 많이 잘 수 있도록 유도해 주시고 마찬가지로 가까운 이비인후과를 찾으셔야 합니다.  

 

병원에서 처방 받은 항생제는 증상이 나아져도 끝까지 먹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2~3일 정도 항생제를 먹이면 통증이 사라져 아이가 다 나은 것으로 생각해 약 먹이는 것은 중단하시는 부모님들이 계시는데요. 세균에 의한 염증이 완전히 나으려면 10~14일 정도 걸리므로 꾸준히 복용해야 합니다.

 

약물치료를 임의적으로 중단하게 될 경우 염증액이 귀 안에 남게 되면 청력에 문제가 생기거나 만성 중이염이나 뇌종양, 뇌막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귀가 붉게 달아오르고 고름이 귀 밖으로 흘러나온다면..

 

중이염이 심해져 고막에 구멍이 나 고름이 밖으로 흘러나온다면, 고름이 밖으로 빠져나오면 오히려 통증이 가라앉고 열이 내려 아이가 짜증을 내거나 보채는 것은 조금 덜해집니다. 

 

항생제를 꾸준히 챙겨 먹이고, 고름이 흘러나오면 면봉으로 귓바퀴 주변을 가볍게 닦아주세요. 고름을 닦겠다고 면봉을 귀 속으로 집어넣으면 오히려 염증이 악화될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하구요.

 

또한 이 시기에는 아이의 청력에 문제가 없는지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시끄러운 TV 앞에서도 별 반응이 없고, 불러도 잘 알아듣지 못한다면 청력검사를 받아 보아야 합니다. 또 주의해야 할 점은 귀에 물이 들어가면 귓속이 습해지면서 세균 감염이 되어 2차 중이염이 발생할 수 있으니 목욕 후에는 헤어드라이기의 찬바람을 이용해 귀 주변의 물기를 말끔하게 말려주면 2차 발생을 예방 할 수 있을 것입니다.